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피겨스케이팅 선수

by 우리두리둥실 2025. 2. 12.
300x250

피겨스케이팅 선수 - 차준환

 

피겨스케이팅 선수 - 차준환

 

차준환은 2001년 10월 21일에 태어난 대한민국 피겨스케이팅 선수다.

 

어린 시절부터 피겨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고, 2005년부터 2009년 초반까지 잡지, 광고, 드라마 등에 출연하며 아역 배우로도 활동했다.

그러나 피겨스케이팅에 전념하기 위해 연예 활동을 중단하고 훈련에 집중했다.

 

그의 스케이팅 스타일은 우아함과 기술적 완성도로 유명하다.

특히 점프의 높이와 회전의 정확성, 그리고 예술적인 표현력이 돋보인다.

 

이러한 장점 덕분에 국내외 대회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최근에는 2025년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에 출전하여 남자 싱글 쇼트프로그램에서 94.09점을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1위인 일본의 가기야마 유마와는 9.72점 차이로, 오는 13일 프리스케이팅에서 역전을 노리고 있다.

 

꼭 우승할 수 있을 것 같다. 

 

차준환은 부상과 슬럼프를 겪기도 했지만, 이를 극복하고 꾸준한 노력으로 다시 정상급 기량을 보여주고 있다.

 

그의 이러한 모습은 많은 팬들에게 감동을 주고 있다.

 

앞으로도 그의 성장은 계속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의 기량과 꾸준한 노력, 그리고 부상 관리에 신경 쓴다면, 향후 국제 대회에서도 더욱 눈부신 활약을 펼칠 것으로 보인다.

 

 

 

피겨스케이팅 점수는 어떻게 이루어진 것일까? 궁금하면 못 참는 성격에 한번 알아보기로 했다.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의 채점 시스템에 따라 산정되며, 기술 점수(TES, Technical Element Score)와 예술 점수(PCS, Program Component Score)로 나뉜다. 여기에 가산점(GOE, Grade of Execution), 감점(Deductions) 등이 적용되면서 최종 점수가 결정된다.

1. 기술 점수(TES, Technical Element Score)

기술 점수는 경기 중 수행한 점프, 스핀, 스텝 등의 요소(Elements)마다 기본 점수(Base Value)와 수행 점수(GOE)로 결정된다.

(1) 점프 (Jump)

  • 종류: 토루프(Toe Loop), 살코(Salchow), 루프(Loop), 플립(Flip), 러츠(Lutz), 악셀(Axel)
  • 기본 점수: 난이도에 따라 다름 (단순한 점프일수록 점수가 낮고, 복잡한 점프일수록 점수가 높다)
  • 점프 레벨
    • 1회전(싱글): 낮은 점수
    • 2회전(더블): 중간 점수
    • 3회전(트리플): 고득점 가능
    • 4회전(쿼드러플): 최고 난이도 (가장 높은 점수)
  • GOE (수행 점수, Grade of Execution): 심판 9명이 -5점부터 +5점까지 부여
    • 예: 4회전 점프의 기본 점수가 10점이라면, 수행이 완벽하면 최대 +5점이 추가됨
    • 수행이 좋지 않으면 감점 (-5점까지 가능)
  • 회전수 부족(Downgrade / Under-rotation) 감점
    • 회전이 1/4(90°) 미만 부족: 감점 없음
    • 1/4~1/2(90°~180°) 부족: 어텐션(<) 표시, 기본 점수의 70%만 인정
    • 1/2(180°) 이상 부족: 다운그레이드(<<) 처리, 낮은 회전수 점프로 변경됨 (예: 트리플 → 더블 점수)

(2) 스핀 (Spin)

  • 종류: 컴비네이션 스핀(COMB), 점프 스핀(Flying Spin), 레이백 스핀(Layback Spin) 등
  • 레벨(Level 1~4)
    • 레벨 4: 난이도가 높은 스핀 (최고 점수)
    • 레벨 1: 기본적인 스핀 (최저 점수)
  • GOE 가산점: 스핀 속도, 중심 유지, 균형감에 따라 심판이 -5 ~ +5 가산점을 부여

(3) 스텝 시퀀스 (Step Sequence)

  • 링크를 넓게 활용하여 다양한 스텝을 수행해야 높은 점수 획득 가능
  • 레벨 1~4로 평가되며, 난이도에 따라 점수가 다름
  • GOE 가산점: 스텝의 속도, 연결 동작의 자연스러움, 음악과의 조화 등을 고려

2. 예술 점수(PCS, Program Component Score)

PCS는 기술이 아닌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표현력과 연기력, 스케이팅 기술 등을 평가하는 점수다.
5개 항목이 있으며 각각 10점 만점으로 심판이 점수를 부여한다.

(1) 스케이팅 기술 (Skating Skills)

  • 기본적인 스케이팅 능력 (스피드, 균형, 안정성)
  • 에지 사용법이 얼마나 정교한지 평가

(2) 연결 동작/트랜지션 (Transitions)

  • 점프나 스핀 사이의 연결 동작을 얼마나 자연스럽게 수행하는지
  • 연결 요소가 많을수록 고득점

(3) 실행력 (Performance/Execution)

  • 연기의 몰입도, 동작의 정확성 평가

(4) 안무 (Choreography)

  • 프로그램 구성의 창의성, 음악과의 조화 평가

(5) 해석력 (Interpretation)

  • 음악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표현하는지 평가

3. 가산점 (GOE, Grade of Execution)

각 기술 요소는 -5에서 +5까지 GOE가 부여된다.

  • 점프가 정확하면 +GOE 점수를 받고, 불완전하면 -GOE 감점을 받는다.
  • GOE는 심판 9명이 각각 채점하며, 최고점과 최저점을 제외한 평균을 반영한다.
  • 예를 들어, 4회전 점프를 매우 깨끗하게 착지하면 **기본 점수 + GOE(최대 5점)**가 가산된다.

4. 감점 (Deductions)

다음과 같은 경우 감점이 적용된다.

  • 넘어짐 (Fall): -1점
  • 시간 초과 (Overtime): -1점
  • 점프 반복 규정 위반: 점수 무효
  • 악의적인 행동 (Unsportsmanlike Conduct): 감점 가능
  • 의상 규정 위반: 감점 가능

5. 최종 점수 산정

최종 점수(TSS, Total Segment Score) = 기술 점수(TES) + 예술 점수(PCS) - 감점

  • 쇼트 프로그램과 프리스케이팅의 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이 결정된다.
  • 국제 대회에서는 200점 이상이면 매우 높은 점수로 간주된다.

 

 

📌 경기를 보면서 점수를 파악하는 방법

  1. 점프 시 회전수를 확인하고, 랜딩(착지)이 안정적인지 본다.
    • 4회전이면 기본 점수가 높고, 착지가 흔들리면 감점될 가능성이 큼.
    • 회전수가 부족하면 점수 차감이 이루어짐.
  2. 스핀과 스텝에서 레벨 4가 나오는지 확인한다.
    • 고난도 기술을 사용하면 레벨 4를 받을 확률이 높음.
  3. 프로그램이 끝나면 PCS 점수가 공개되므로, 감성적 표현이 좋은 선수는 높은 점수를 받을 확률이 큼.
  4. 총점이 나오면 기존 최고점과 비교해 얼마나 좋은 점수인지 판단할 수 있음.

이제 경기를 보면 바로 점수를 예상할 수 있을 것 같다. 

반응형